본문 바로가기

패션

명품 브랜드 마케팅 그 자체. 에르메스

 Hermes. 이름만 들어도 간지 좔좔 넘쳐 흐르는 그 이름. 오늘은 명품 중의 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 에르메스 브랜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의식주라는 단어 안에는 많은 뜻이 내포되어 있다. 인간이 먹을 수 있는 음식🥘, 인간이 살고 있는 집🏠, 그리고 인간이 입는 옷👖까지. 의식주는 인간의 생활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소비 니즈가 확고한 만큼 명확한 세계 굴지의 회사들 가운데는 IT, 음식, 유통, 자동차 기업들만 있는 것이 아닌 바로 ‘의’에 해당하는 세계적인 패션 브랜드들이 입점해 있다. 에르메스는 루이뷔똥, 샤넬 등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이 업계 부동의 1위 루이뷔똥은 나중에 살펴보도록 하고 오늘은 어떻게 이 프랑스의 거인이 세계적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에르메스의 역사

 오늘은 다른 글이랑은 다르게 가볍게 에르메스의 역사를 살펴보고 가도록 하자. 패션 브랜드들의 명성은 사실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대부분 유명한 명품 브랜드들은 적어도 100년이라는 세월의 무게를 짊어지고 있다. 에르메스도 1837년 프랑스의 작은 잡화점으로 시작한 브랜드이다. 처음에는 가죽용품을 취급하는 회사였지만 대를 거듭하며 취급하는 아이템을 늘려 나갔고, 사업 수완이 좋았던 자손들에 의해 점점 더 글로벌🌎로 스케일을 키우게 되는 것이 에르메스의 간단한 스토리텔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에르메스를 이렇게까지 유명하게 만들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사람들은 퀄리티에 자신이 가진 모든 지갑👛을 열지 않는다. 퀄리티가 엄청 좋은 가방이 있다고 해보자. 필자라면 대략적으로 50만원 정도까지는 퀄을 믿고 사줄 수 있다. 근데 몇백만원의 가방을 단순히 퀄리티가 좋다고 살 수 있을까. 아니다. 몇백만원의 상품을 소비자가 구매하기 위해서는 누구라도 납득할 수 있는 프레시티지와 브랜드 밸류가 필요하다. 여기서 에르메스의 전매특허인 명품 마케팅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보자.

 

희귀성을 확보하라

 에르메스는 ‘한정’ 마케팅의 대가이다. 없으면 없을수록 사람들은 그 가치에 목마른 법. 일단 그 첫번째는 정보의 차단이다. 에르메스는 일년동안 본인들이 제품을 얼마나 생산했는지 공개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마치 전세계에 몇 개 없는 본인만의 스페셜함을 보유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해당 제품을 손에 쥐기까지 소비자들은 일년 가까이 기다려야 한다. 마치 몇 개월 동안 주문이 밀려있는듯한 느낌을 받는 것처럼.

 매장에서의 대접은 또 어떤가. 에르메스의 공간은 사람들이 단순히 매장🏪에 들어가서 제품을 사는 곳이 아니다. 에르메스는 당신이 제품들을 걸칠 자격이 있는지 살핀다. 이미 에르메스 매장에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능력을 인정받는 것이다. ‘몇백년간의 브랜드 역사와 장인정신을 입을만한 사람은 바로 당신이다.’ 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어필하는 점이 에르메스가 본인의 밸류를 잃지 않은 비법이다.

 

입소문은 최고의 마케팅이다

에르메스 가방을 대대적으로 들고 다니는 유명 연예인들

 에르메스는 대대적으로 제품을 광고하거나 마케팅을 홍보하지 않는다. 돌이켜보면 TV📺나 유튜브🖥️에서 에르메스를 광고하는 것을 본적이 거의 드물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사람들에게 에르메스를 알릴 수 있을까? 답은 입소문이다.

 가방은 사실 연예인들이 본인을 알리기 위한 하나의 브랜드에 가깝다. 에르메스의 대표 모델은 세계에서도 가장 유명한 셀럽들이다. 그들이 입는 옷과 패션은 곧 대중들의 선망과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간접적인 광고만으로도 에르메스는 그들의 브랜드 가치를 높게 유지하고, 사람들의 궁금증을 자아내며, 적은 돈으로도 많은 이익을 만들어낼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있다. 셀렙과 유명 인플루언서들만으로 에르메스는 매스 마케팅에 많은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전 세계에 본인을 추종하는 거대한 팬 층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젊은 이미지와 트렌디함을 유지하라

1970년대 에르메스의 이미지를 바꾼 마케팅

 에르메스에도 위기가 있었다. 1970년대 에르메스의 분위기는 한 마디로 ‘올드함의 결정체’였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입을법한 가죽이라는 소재에 얽매어 젊은 사람들이 브랜드를 외면하기 시작하고, 에르메스의 가치는 곤두박질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위기 속에 에르메스는 빠르게 본인의 색깔을 변화시켰다. 데님에 스카프🧣 등을 개발하는가 하면, 젊은 층을 모델로 내세우면서, 점차 노년 층의 추억이라는 이미지에서 젊은 층의 워너비라는 이미지로 브랜드를 탈바꿈시켰다. 그렇게 변화를 꽤한지 10년 안에 에르메스는 다시 최고의 명품 브랜드로 도약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노력이 있었지만, 결국 그러한 비용을 지불하였기 때문에 에르메스의 현재 브랜드가 지속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다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에도 젊은 느낌을 유지하기 위한 에르메스의 디자인 어셋 예시

 

마무리하며

 대부분의 패션 브랜드들, 특히 이름을 날리는 명품 브랜드들은 그 역사가 몇 백년이 이어져 내려오는 것이 제법 많다. 세계 모두가 인정하는 장인의 손길과 디테일로 시작했지만, 물론 회사를 키우는 것은 단순히 장인의 손길 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아무리 멋있게 잘 만들어도, 하루에 한 개 밖에 못 판다면 그것은 사실상 사업이라고 부를 수 없는 영역이다. 회사를 만들어 나가는 핵심은 마치 에르메스의 프랑스 본사에서 산 것만 같은 명품의 퀄리티👜와 가치💲를 유지하면서, 전국적으로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본인의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갖추는 일일 것이다.

 명품 브랜드에서 제품이 가지는 가치의 희소성을 유지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패션 브랜드들이 생겨나고 사라진다. 그 수많은 패션 브랜드들이 단순히 퀄리티가 부족해서 사라지는 것일까? 스토리텔링이 부족해서 사라지는 것일까? 단연코 절대 아니다. 우리는 에르메스라는 브랜드 가치를 아는 것만큼 다른 패션 브랜드의 가치에 대해서 알 수가 없다. 명품을 만들었다면, 그 다음에는 알릴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자. 그것이 세계 최고의 패션 브랜드를 만들어낸 지름길이다.

 

세 줄 요약

1. 희소성 가치를 잘 유지한 브랜드

2. 입소문 마케팅을 잘 활용한 브랜드

3. 젊은 이미지로의 빠른 변화에 성공한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