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정말 힘든 하루였다. 힘든 하루를 보상받기 위해서는 나를 위한 콘텐츠가 필요하다. 집에 가면 시원한 맥주🍺와 함께 나를 기다리는 바로 그 브랜드. 넷플릭스. 오늘의 주인공은 구독 경제의 선구자 넷플릭스다.
넷플릭스가 인기를 끌기 전까지는 모든 콘텐츠를 단품으로 사야했다. 하지만 구독 시스템이 도입되며 월 정액만 내면 모든 콘텐츠를 내 마음대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먹을 것으로 따지면 단품 레스토랑이 아니라 뷔페랄까? 이미 내 마음 속 가심비❤️🔥를 따지더라도 훨씬 여유롭고 편하다. 콘텐츠 감상은 사실상 넷플릭스 이전과 넷플릭스 이후로 나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구독 경제를 이끌어낸 넷플릭스의 비밀은 무엇일까?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 수보다는 전달하는 방법이 더 중요해
넷플릭스가 갑작스럽게 생긴 회사라고 느껴질 것 같지만, 사실은 창립 후 26년이 된 회사다. 놀랍지 않은가? 넷플릭스가 20년이 넘은 회사라니. 물론 그러한 역사가 쌓여 지금의 넷플릭스를 만들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플릭스의 시작은 DVD 렌탈업체였다. 그리고 그다지 주목받지 않은 업체였기도 했다. 넷플릭스는 그렇지만 꾸준히 내실을 다져 나갔다. 그리고 조심스럽게 때를 기다렸다. 자신이 날아오를💸 그 순간을. DVD 렌탈이란 사업은 그들의 과정에 불과했다. 그들이 주목한 것은 어떻게 자신들의 콘텐츠를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었다.
회사는 한동안 적자를 기록했지만, 회사는 꾸준히 구독자를 늘려나갔고, 그 가운데 구독자들의 취향에 맞춘 다양한 콘텐츠를 추천했다. 구독자들은 넷플릭스 자신들이 추천한 콘텐츠들을 때로는 주문하고, 때로는 주문하지 않았다. 그러한 개인 데이터들이 쌓이면서 정교한 알고리즘에 대한 노하우가 쌓여나갔다. 유명한 TV나 케이블 채널들이 프로그램을 얼마나 많이 보는지 주목할 때, 그들은 한 명의 유저가 얼마나 많은 영화를 볼 수 있는지에 대해 주목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한 달이라는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영화를 볼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가격에 대한 최적화를 진행한 것이다. 일정 가격만 내면 사람들을 얼마든지 넷플릭스가 보유한 콘텐츠를 무한정으로 볼 수 있었기 때문에, 합리적인 가격 선에서 많은 영화를 보고 싶은 사람들은 넷플릭스를 구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침내, DVD의 시대가 저물고 인터넷 스트리밍 시대가 도래했다. 넷플릭스는 재빠르게 자신의 구독 경제에 맞춰 회사를 변화시켰고, 흐름을 잡은 넷플릭스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구독자를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 된다.
넷플릭스에서만 볼 수 있다고? 어쩔 수 없이 구독할 수 밖에...
넷플릭스는 자신들만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독점 콘텐츠를 계약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끈 <하우스 오브 카드>를 시작으로, <기묘한 이야기>와 같은 퀄리티 높은 독점 콘텐츠들이 입소문을 타고 경쟁자로부터 구독자들을 흡수하기 시작한다. 2017년. 넷플릭스는 미국의 모든 케이블TV 구독자 수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구독자를 보유하며, 사실상 콘텐츠계를 독점하기에 이르렀다.
<하우스 오브 카드>는 넷플릭스가 첫 독점 콘텐츠라는 막중한 책임을 가지고 시작한 프로젝트다. 회사의 사활이 걸린만큼 이례적인 제작비💰💰가 투입되었다. 또한, 독점 경제의 핵심인 인터넷 스트리밍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광고 없는 편한 시청’이다. 당시 TV쇼에서 40분 시청, 20분 광고라는 다소 과한 광고 마케팅에 사람들은 지쳐 있었다. 넷플릭스는 이 불편함을 제대로 파고 들었다. 넷플릭스의 독점 콘텐츠를 가장 빠르고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은 스트리밍과 구독 경제 시장에 엄청난 바람을 몰고 오게 된다.
성공에 확신을 가지고 발빠르게 시장을 선점하다
넷플릭스는 본연의 미국 시장뿐만 아니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다양한 글로벌 전략을 시도한다. 먼저, 넷플릭스는 각 권역의 국내 통신사, 케이블사 및 콘텐츠사와 발빠르게 계약📜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넷플릭스는 과도한 마케팅 비용이나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그들이 보유한 구독자들을 넷플릭스의 생태계에 빠르게 흡수하는 데 성공하게 된다. 또한 해당 업체들이 보유한 로컬 마켓과 현지화 전략들을 고스란히 흡수하며 또 한 번 급속도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이런 넷플릭스의 글로벌 확장 전략은 넷플릭스가 얼마나 시장의 트렌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세계 각국에 퍼져 있는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계약 논의를 하기 위해서는 이 미래가 정확하다는 선구안이 필요하기 마련. 넷플릭스는 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에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 넷플릭스는 전세계의 다양한 재능들을 모아 무려 700여개가 넘는 독점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무려 10조에 가까운 비용을 쏟아붓고 있다. 정말 어마어마한 비용이 아닐 수 없다. 한 가지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올인하는 넷플릭스의 대단함을 엿볼 수 있었달까?
마무리하며
넷플릭스의 구독 경제는 디즈니, 아마존, 훌루 등 다양한 경쟁자들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세계 각 국의 로컬 경쟁자들도 구독 시장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선구자의 이미지와 그들이 나아가는 방향성은 콘텐츠 시장에서 큰 이정표를 주었고, 그들이 가지는 상징성은 아직도 유효하다. 넷플릭스는 자신들이 생각하는 미래를 구상하고, 조용히 내실을 다지며 때를 기다렸으며, 막상 모든 것을 걸 시기가 오자 말 그대로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정말 간단하지만 누구나 지키기 힘든 기본적인 사업의 법칙을 누구보다도 정확하게 지킨 브랜드. 구독 경제의 태초 거인 넷플릭스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응원한다.
세줄 요약
1. 조용히 묵묵하게 자신들이 일어날 때를 기다린 브랜드
2. 자신들만이 보유한 독점 콘텐츠를 확보한 브랜드
3. 자신의 일에 확신을 가지고 공격적 확장을 진행한 브랜드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의 한순간에 가장 가까이에 있는 카메라. 라이카 (0) | 2023.06.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