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조업

브랜드가 아닌 상품으로 승부하는. 무인양품

 

브랜드가 없는 브랜드가 있다?🧐 말이 안되는 말이지만 실제로 있는 브랜드야. 바로 일본의 대표 브랜드 ‘무인양품(無印良品)’ 이라는 브랜드야. ‘매우 합리적인 공정을 통해 생성된 제품은 매우 간결합니다.’ 라고 말하며, 상품 디자인부터 포장 그리고 브랜드까지 간결하게 처리하는 이 브랜드는 1980년 40여종의 상품을 시작으로 지금은 수천가지 상품과 주택사업까지 진행 하며 브랜드가 생활의 미의식을 판매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브랜드야. 이 브랜드가 과연 어떤 브랜드이고 어떻게 사랑을 받았는지 한번 소개 해보고자 해!

 

 

 

 

 

'이것으로 충분하다.'

 

 

무인양품은 1980년 일본의 버블경재 시기에 태어난 브랜드야. 당시 일본의 경제력💰은 어마어마 했고, 경제적으로 여유로웠던 일본 사람들은 명품이나 하이엔드 브랜드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브랜드의 가치에 대해서 맹신 하고 있던 시기이기도 했지. 하지만 무인양품은 당시 시대상과 반대로 ‘이유 있는 저렴함’이라는 슬로건을 앞세워  ‘무인’(無印-도장이 찍혀 있지 않은), ‘양품’(良品-좋은 품질)이라는 직관적인 메세지를 담은 브랜드를 런칭 하게 되었지. 지금은 상상할 수도 없는 당시의 여유로운 일본 경제 상황에서 과연 성공 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가질 수 도 있지만, 결국 명품과 사치가 결국 자기 자신의 행복을 채워주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고 이를 지겨워하기 시작한 일본 사람들은 상품 본연의 가치를 찾아 비싼 물건이 아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상품을 찾게 되었고 50여개의 상품으로 시작한 상품은 버블경제가 끝나감에 따라 수천개의 상품을 판매하는 브랜드로 성장 하게 되었고 1991년에서 2001년 까지성장률은 무려440%달하게 되었다고 해. 

 

하지만 이런 영광이 계속 되었던 것은 아니야.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유니클로, 다이소와 같은 유사한 가치관을 가진 브랜드들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고, 이제는 무인양품의 시대는 끝났다라고 말하는 사람도 생겨 났지. 하지만 포기 하지 않는 무인양품은 위기 쇄신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꽤하게 되. 점포, 인원 정리와 더불어 오랫동안 처분하지 못하고 있던 재고를 과감히 소각 시키는등 0에서 부터 시작하는 노력을 시작하며 변화하는 세상에 맞추어 하나식 새로운 도약을 준비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다움’은 잃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어. 

 

그리고 가장 중요한 변화로서 ‘이것으로 충분하다’라는 무인양품의 새로운 기조를 변경하게 되. 기존의 ‘이유가 있어 저렴하다’라는 기조에 내재 되어 있던 경제성과 실용주의적 측면은 일관성있게 유지 하면서도, 생활용품을 더욱 멋지게 그리고 기능성있게 만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어. 이후 만들어진 상품은 마치 ‘흰쌀밥🍚’과 같이 어떠한 브랜드와 어떠한 환경에서도 두루두루 잘 녹아내는 제품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고, 이렇게 무인양품은 많은이들의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 들어가는 브랜드가 될 수 있었어.

 

채워지지 않은 새하얀색을 나타내는 무인양품 광고 포스터. 어디서나 어울리는 무인양품과 닮았다.

 

 

 

 

‘이유 있는 저렴함’

 

지금은 단순히 저렴하기만 하는 상품을 파는 브랜드는 아니지만, 무인양품에는 ‘이유가 있어 저렴하다’라는 컨셉이 여전히 유효한 브랜드 이기도 해. 무인양품의 오픈 당시의 ‘소재의 선택, 공정개선, 포장의 단순화’ 라는 상품 전략은 지금까지 유효하게 진행 되고 있어. 이를 반영해 당시 재미있는 마케팅을 진행 하였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은 ‘연어는 몸전체가 연어다’ 라는 마케팅 문구 였어. 당시 연어🐟를 가공하며 버려졌던 연어 머리나 꼬리부분에도 당연히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살부분이 붙어 있었는데 이를 가공을 하여 상품화 한것이야. 이를 통해 합리적인 가격의 상품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폐기물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도 했어. 이렇게 남다른 상품 기획의 관점은 지금의 무인양품의 상품을 만드는데 있었어도 큰 바탕이 되고 있어.

 

 

'연어는 몸전체가 연어다' 무인양품의 광고 포스터

 

자연, 당연, 무인

ESG는 요즘의 기업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가치이기도 해. 그런데 무인양품은 1980년대 부터 ESG를 실천한 브랜드라고 할 수 있어.  ‘자연, 당연, 무인’ 1983년도의 무인양품 광고 포스터에 적용된 문구야. 자연속엔 당연히 브랜드는 없다(무인) 라는 자연을 강조하는 철학적 메세지를 담은 슬로건이지 이 슬로건은 2014년의 광고 포스터에도 똑같이 사용되고 있어. 시간은 지났지만 무인양품의 가치관은 변하지 않았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지 물론. 말로만 실천하고 있는 것은 아니야. 대표적으로는 무인양품의 오랜 스테디셀러인 ‘깨진 표고 버섯🍄’가 그 예시야. 맛과 영양분은 전혀 문제는 없지만 못생긴 외형으로 버려질 수 있는 채소들을 상품화 하고 저렴하게 판매 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막기도 하며, 포장의 단순화를 통하여 제품에 따라 별도 포장 없이 태그만 달아서 판매 하거나, 상품 자체에 필요 정보를 프린팅하여 포장제를 최소화 하는 모습을 오랫동안 보여 줬었 어. 

 

 

 

1983년 그리고 2014년의 자연.당연, 무인

 

 

 

마무리 하며

 

무인양품이 아니더라도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제공 하는 브랜드는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지만 무인양품처럼 하나의 라이프스타일이 되는 브랜드는 거의 없다고 생각해. 이런 큰 차이를 보여주는 이유중 하나는 기업이 가지고 가고자 하는 본질적 가치관을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야. 트랜드에 맞춘 상품이 아닌 그들이 가진 가치관을 가진 상품을 계속 늘려가는 것이지. 때문에 저렴한 상품을 파는 브랜드인 다이소는 고객들 인식에서 저렴하지만 품질이 나쁜 브랜드인 반면에 무인양품은 합리적인 가격에 제품 본연의 가치를 충실히 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주고 있지. 

물론 확고한 운영철학과 가치관이 있다고 반드시 성공하는 브랜드가 되는 것은 아니야. 하지만 성공한 대부분의 브랜드들은 무인양품과 같이 확고한 가치관을 바탕으로 유지 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 하게 되. 

1980년 브랜드 런칭 당시 상품을 선정하던 기준을 보면서 오래전부터 무인양품이 지켜온 가치관에 대해 한번 생각 해보았으면 해.

 

[1980년 무인양품의 상품 선정 조건]

1.      일상 생활 안에서 꼭 필요한 물건 일 것

2.     생활에 필요한 도구는 사용하기 쉬운 것을 중심으로

3.     식품은 맛은 물론 안심할 수 있는 소재를

4.     입을 것은 무엇보다 입었을 때의 착용감을 중시할 것

5.     생산 과정을 꼼꼼하게 점검하고 불필요한 비용이 들지 않도록 패키지를 최소화 할 것

 

 

'이유가 있어 저렴하다 ' 1980년 포스터

 

3줄요약

 

1.     간소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브랜드

2.     불필요한 것은 과감히 없애는 브랜드

3.     가치관을 잃지 않는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