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음악에 있어서 다양한 악기와 디지털 사운드가 사용 되고 있지만, 다양한 사운드로 몇 십년이 넘도록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악기의 사운드중 하나는 일렉기타🎸 사운드라고 생각해.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들이 연주하고 카피 되어진 Fender(펜더)라는 브랜드를 소개 하고자 해!
라디오📻 수리공이 만든 기타 브랜드
펜더라는 브랜드는 미국에서 태어난 ‘레오 펜더(Leo Fender)’의 이름에서 따온 브랜드야. 그는 원래 회계 사무원이었지만 부업으로 라디오📻 수리점을 운영 했었지. 부업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수리실력은 지역에서 꽤나 유명해서, 타지역에서도 찾아오는 사람이 있을 정도 였어, 그러던 어느날 기타리스트인 닥 코프먼이라는 동업자가 찾아와 본격적으로 기타 제작을 시작하였고 이후 1946년 오늘날의 펜더가 설립되게 되었어. 재밌는 사실은 레오펜더는 어렸을때 부터 다양한 악기를 배웠었는데, 기타만큼은 배운적이 없다고 해.
이후 펜더는 기타 역사상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기타브랜드가 되기도 하는데, 실용성을 바탕으로 한 혁신이 이후 전자악기 분야와 다양한 음악 장르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한 것은 틀림 없는 사실이야
첫번째 혁신 양산형 조립식 기타
원래 기타라는 악기는 바이올린 처럼 바디의 통 울림을 통해서 소리를 내는 악기야, 그 울림을 극대화 하기 위해 바디와 넥을 접착제로 붙여 하나 같이 만드는‘셋 인 넥(Set in neck)’기타가 일반적이었지, 하지만 제작에 손이 많이 가서 이는 대량 생산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제작 방식이야. 이에 대해 고민한 펜더는 한명의 장인이 하나의 기타를 전부 만드는 것이 아닌, 각 파츠를 분업화 하여 양산화 하는 기타를 만드는 ‘조립식’ 기타를 만들기 시작해. 특히나 핵심적인 것은 기존과 달리 볼트 나사로 넥과 바디를 연결하는 ‘볼트 온 넥(Bolt on neck)’이라 하는 방식인데 당시엔굉장히 혁신적인 방식 이였는데, 소리 품질은떨어지지 않으면서도,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거든. 이로 아직도 많은 기타 제작사에서도 펜더와 같은 제작 방식을 이용하고 있고, 양산형 악기를 통해서 음악 연주의 진정한 대중화를 이끈 역사적 위업을 달성 했다고도 볼 수 있지.
최초의 전자 베이스 ‘펜더 프레시전’
전자 기타는 펜더 이전에도 이미 존재 했던 형태였고 펜더는 이를 잘 가공하여 개선을 했던 것이라면, 전자 베이스 만큼은 펜더가 최초로 만들었다고 할 수 있어. 펜더의 프레시전 베이스(Precision Bass)가 바로 세계 최초의 전자 베이스야. 당시엔 저음을 담당하는 악기는 주로 더블베이스(콘트라베이스)가 담당하였는데, 사람 몸체 하나만한 사이즈의 기타로서 운반자체도 너무 어려웠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내기 위해선 별도의 마이크가 있어야 했어, 하지만 펜더의 프레시전 베이스는 가볍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사이즈에다, 넥에 프랫(frat)을 달아서 음의 정확성을 높여서 만들어 졌어. 이로 인해 수 많은 베이스 연주자에게 펜더의 베이스는 사랑을 받았고 한때 전자 베이스는 ‘펜더 베이스’라고 명사화가 됐을 정도 였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기타 펜더 ‘스트라토캐스터’
전 세계에 다양한 기타 브랜드가 있지만, 가장 많은 프로 연주자들이 쓰는 브랜드는 당연히 ‘펜더’라고 할 수 있어, 지미헨드릭스, 에릭클랩튼, 제프백 등 역사상 유명한 기타 리스트뿐만 아니라 현대 음악에서도 펜더의 기타는 빠질 수 없는 기타야. 특히나 ‘스트라토캐스터Stratocaster)’라는 모델은 각종 미디어에서 일렉기타라고 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상징성 있는 기타라고 할 수 있어, 시중에는 이와 동일한 디자인 형태의 기타들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엄밀히 따지면모두 카피 제품이라고 할 수 있지. 초반에는 펜더가 이런 기타들에게 소송을 걸기도 했지만, 지금은 너무나 많은 브랜드에서 디자인을 따라 하고 있기 때문에, 법적인 제재를 가하고 있지는 않아. 그리고 지금은 다른 브랜드에서 오리지널 보다 비싼 기타가 나오기도 하고 있어.
이렇게 사랑 받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출시 당시의 센세이션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 같아. 당시 솔리드 기타 최초로 3개의 ‘픽업(기타의 마이크)’을 장착 하였고, 특유의 트레몰로 브릿지는 다양한 사운드와 안정적인 연주를 할 수 있게 해주었어, 그리고 유려한 곡선 디자인은 편안한 연주감은 물론 지금 봐도 아름다운 디자인 이기도 해. 하나 하나만 보았을 때는 이미 다른곳에서 한번쯤은 시도 하였을 요소이지만, 펜더만의 생산 기조였던 ‘기존의 것을 조금더 발전 시킨다’라는 것이 모여 개선된 다양한 요소가 합해져 하나의 히트 상품을 만들게 되었다고 볼 수 있어
트랜드에도 뒤쳐지지 않는 빈티지 브랜드
펜더는 기타 팬들 사이에서는 클래식과 빈티지로 통하는 브랜드야. 기타의 역사라고 할 수있는 브랜드기이 때문이지. 하지만 항상 과거에만 머물러 있는 브랜드는 아니야. 라인업을 분할 하면서 기존 고객 층인 빈티지 사운드를 지향하는 제품과 모던한 사운드를 내어 주는 제품 라인을 구분 하는 형태로 다양한 취향을 공략하기도 함과 동시에,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시그니쳐 제품을 출시하면서, 요즘을 대표하는 아티스트들의 사운드를 추구하기도 하지. 뿐만 아니라 스트릿 패션으로 유명한 '슈프림(Supreme)'과 같은 브랜드와 콜라보 제품을 내기도 하면서, 계속해서 새로움을 보여주고 있는 브랜드 이기도해!
마무리 하며
음악🎶이라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다 보니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지만, ‘펜더’라는 브랜드가 음악 역사상 많은 역할을 했다는 것은 그 누구도 부정 하지 못하는 사실중에 하나야. 위에서 언급한 내용 외에도 학생용(교육용)기타 인 듀오소닉, 머스탱 같은 모델을 출시하여 기타의 대중성에 큰 기여를 하기도 하며, 기타 앰프에 있어서도 펜더의 입지는 지금도 단단하다고 볼 수 있어. 이 처럼 단순히 상품성 뿐만 아니라 대중 문화에 기여가 큰 브랜드는 많지 않다고 할수 있지. 이런 성공을 하기 까지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소는 ‘외관 보다는 실용성’이라는 경영 철학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물론 디자인도 유려한 기타지만, 모든 것이 연주자의 이야기에서부터 시작 되어 실용성을 바탕으로 기획 되었기 때문이야. 단순히 악기로서 뿐만 아니라상품을 기획 하는 입장이라면 꼭 한번 펜더 기타의 역사를 확인 해보았으면 싶어.
세줄 요약
1. 최초의 양산형 전자 기타를 만든 브랜드
2. 최조의 전자 베이스를 만든 브랜드
3. 모든것이 연주자를 위해 실용성 바탕으로 만들어진 브랜드
'제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드가 아닌 상품으로 승부하는. 무인양품 (0) | 2023.06.25 |
---|---|
현대 산업 디자인의 영감이 되는 브랜드. 브라운 (0) | 2023.06.17 |